'점유율'에 해당되는 글 1건
- 2009.06.29 검색 엔진 최적화(SEO),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6
- 검색 엔진 최적화(SEO),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 Thoughts
- 2009. 6. 29. 09:16
SEO. 인터넷을 하다보면, 그리고 블로그를 하다보면 많이 듣는 말이다. 서(Seo)? 그게 어쨌다고? 난 앉아있는데! 1
SEO, 즉 검색 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에 대해서는 구글신에게 물어보면 자세히 알려준다. 그 중에서 위키백과에 있는 내용을 인용해보자면
즉, 자신의 홈페이지나 블로그 내용을 다듬어 검색 엔진에서 효과적으로 검색되도록 하여 검색 엔진을 통한 유입을 늘여보자는 것이 바로 검색 엔진 최적화이다. 이는 상당히 중요한 작업이다. 특히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을 통해 수익을 얻고자 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하지만, 과연 SEO가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외국, 특히 미국의 경우 구글의 검색 엔진 점유율을 엄청나다. 다른 검색 엔진이 도저히 따라갈 수 없을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통해 상당한 양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국내에서는 어떨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검색 엔진 점유율에서 구글이 차지하는 부분은 작다.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국내 포탈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크다. 그렇다면 네이버와 다음과 같은 포탈업체의 검색 엔진들은 어떤 기준에 의해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것일까?
많은 분들이 지적하였지만, 국내에서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통해 검색 유입을 이끌어낸다는 것은 그다지 쉬운 일은 아닌 것 같다. 차라리 키워드 광고를 하는 편이 더 낫지 않나 생각된다.
물론 그렇다고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이 무의미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함으로 보다 좋은 내용을 만들 수도 있고, 또 검색 엔진이라는 것이 지속적인 검색 유입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필요한 작업이지만, 이에 대해 너무 매달릴 필요는 없다는 말이다.
가끔 검색 엔진 최적화(SEO)가 광고나 홍보에 있어 최고의 대책인 양 말하는 것을 보게 되는데 이런 것들을 볼 때마다 조금 씁쓸하다.
만약 블로그를 하는 사람이라면 이런 검색 엔진 최적화(SEO) 작업 따위는 잊고 살아도 충분하다. 요즘 블로깅 툴들은 워낙 훌륭해서 제목과 태그만 적절히 달아놔도 우리가 굳이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따로 하지 않아도 아주 훌륭하게 검색 엔진에 노출시켜준다.
SEO, 즉 검색 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에 대해서는 구글신에게 물어보면 자세히 알려준다. 그 중에서 위키백과에 있는 내용을 인용해보자면
검색 엔진 최적화 (SEO)는 "자연적인" 검색 결과를 통해 검색 엔진이 웹 사이트로 향하는 트래픽의 질과 양을 개선하는 작업이다. 사이트가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부분이 화면 상단에 있을수록 ("순위"가 위에 있다면), 검색자들이 그 사이트에 더 많이 방문하게 될 것이다. SEO는 또한 다른 종류의 검색 대상을 둘 수 있다. 이를테면, 그림 검색, 지역 검색, 산업 수직 검색 엔진이 있다.
위키백과 인용
즉, 자신의 홈페이지나 블로그 내용을 다듬어 검색 엔진에서 효과적으로 검색되도록 하여 검색 엔진을 통한 유입을 늘여보자는 것이 바로 검색 엔진 최적화이다. 이는 상당히 중요한 작업이다. 특히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을 통해 수익을 얻고자 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하지만, 과연 SEO가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외국, 특히 미국의 경우 구글의 검색 엔진 점유율을 엄청나다. 다른 검색 엔진이 도저히 따라갈 수 없을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통해 상당한 양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국내에서는 어떨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검색 엔진 점유율에서 구글이 차지하는 부분은 작다.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국내 포탈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크다. 그렇다면 네이버와 다음과 같은 포탈업체의 검색 엔진들은 어떤 기준에 의해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것일까?
많은 분들이 지적하였지만, 국내에서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통해 검색 유입을 이끌어낸다는 것은 그다지 쉬운 일은 아닌 것 같다. 차라리 키워드 광고를 하는 편이 더 낫지 않나 생각된다.
물론 그렇다고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이 무의미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함으로 보다 좋은 내용을 만들 수도 있고, 또 검색 엔진이라는 것이 지속적인 검색 유입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필요한 작업이지만, 이에 대해 너무 매달릴 필요는 없다는 말이다.
가끔 검색 엔진 최적화(SEO)가 광고나 홍보에 있어 최고의 대책인 양 말하는 것을 보게 되는데 이런 것들을 볼 때마다 조금 씁쓸하다.
만약 블로그를 하는 사람이라면 이런 검색 엔진 최적화(SEO) 작업 따위는 잊고 살아도 충분하다. 요즘 블로깅 툴들은 워낙 훌륭해서 제목과 태그만 적절히 달아놔도 우리가 굳이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따로 하지 않아도 아주 훌륭하게 검색 엔진에 노출시켜준다.
- 이 썰렁한 개그. 이런 걸 보고 개드립이라고 하던가. [본문으로]
'Thoug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유머, 위키피디아에 낚인 진모 의원 (5) | 2009.06.29 |
---|---|
블로그 릴레이, 그리고 집단지성 (16) | 2009.06.29 |
트랜스포머 2: 패자의 역습 (16) | 2009.06.28 |
블로그 유입 검색어, 2009-06-27 (18) | 2009.06.27 |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 (12) | 2009.06.27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