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생도 중간고사를?
- Thoughts
- 2009. 10. 20. 09:01
언제부터 초등학교에서 시험을 보지 않게 되었을까? 찾아보면 나오기는 할텐데 찾아보는 것이 귀찮은 관계로 그냥 넘어가도록 하고 … 분명 초등학생들은 시험을 보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을 하는데 언제부터인가 또다시 초등학생들도 시험을 보기로 한 모양이다.
지난 주말 집에 갔더니 달력에 적혀 있는 빨간 글자들이 눈에 들어왔다. "중간고사" 음? 누구의 중간고사? 알고 보니 초등학교 1학년인 아이의 중간고사가 다음 주 수요일이라는 것이다.허허~ 이제 초등학교 1학년인 아이가 중간고사를? 세상이 거꾸로 돌아가나?
우리가 어릴 적, 우리는 학생이 아니라 시험 보는 기계였다.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 보는 기술을 익히고 배워왔다. 그 결과 지금 우리는 시험 성적은 좋을 지 모르지만, 머리 속에 든 것은 없다. 아니, 머리 속에 든 것은 많을 지 모르지만, 그걸 어떻게 써먹어야 하는 지 알지 못한다. 나만 모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제는 머리 속에 든 것도 얼마 남지 않았다.
이런 문제들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것이고, 이런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 정책을 바꾸지 않았었나? 그런데, 이제 또다시 아이들을 시험 보는 기계로 만들려는 참인가? 도대체 … 왜 이렇게 세상이 거꾸로 돌아가게 되었는 지 모르겠다.
아이들을 시험 보는 기계로 만드는 것이 중요할까? 아니면 자연 속에서, 사람들 속에서,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중요한 걸까?
물론 아이들의 공부에 대한 성취욕을 올려주고 동기를 제공해준다는 면에서 시험이란 좋은 제도이다. 하지만, 다들 알다시피 학생들에게 시험을 보게 한다는 것은 그 시험 결과를 가지고 아이들을 줄 세우겠다는 말이 되고, 그럼 어떤 부모가 마음 편히 아이들의 시험을 바라볼 수 있을까. 이게 지금 우리의 현실이다. 아이들의 시험은 아이들만의 시험이 아니고, 부모들의 시험, 어른들의 시험이다.
난 항상 아이가 어떤 시험 성적을 가지고 오든 신경 쓰지 않으리라 마음을 굳게 먹는다. 그런데, 분명 그렇게 되지 않을 것임을 안다. 아이가 받아쓰기 시험을 보고 그걸 들고 오면 구박하던 칭찬하던 했던 것처럼, 분명 이번 시험 결과를 가지고도 아이에게 구박을 하던 칭찬을 하게 될 것이 뻔하다.
슬픈 현실, 불쌍한 아이들. 제발 우리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게 내버려 둘 수는 없을까. 난 우리 아이들이 공부를 잘 하는 것보다, 시험을 잘 보는 것보다, 받아쓰기를 잘 하는 것보다, 밝고 건강한 것이 더 좋은데 …
지난 주말 집에 갔더니 달력에 적혀 있는 빨간 글자들이 눈에 들어왔다. "중간고사" 음? 누구의 중간고사? 알고 보니 초등학교 1학년인 아이의 중간고사가 다음 주 수요일이라는 것이다.허허~ 이제 초등학교 1학년인 아이가 중간고사를? 세상이 거꾸로 돌아가나?
우리가 어릴 적, 우리는 학생이 아니라 시험 보는 기계였다.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 보는 기술을 익히고 배워왔다. 그 결과 지금 우리는 시험 성적은 좋을 지 모르지만, 머리 속에 든 것은 없다. 아니, 머리 속에 든 것은 많을 지 모르지만, 그걸 어떻게 써먹어야 하는 지 알지 못한다. 나만 모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제는 머리 속에 든 것도 얼마 남지 않았다.
이런 문제들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것이고, 이런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 정책을 바꾸지 않았었나? 그런데, 이제 또다시 아이들을 시험 보는 기계로 만들려는 참인가? 도대체 … 왜 이렇게 세상이 거꾸로 돌아가게 되었는 지 모르겠다.
아이들을 시험 보는 기계로 만드는 것이 중요할까? 아니면 자연 속에서, 사람들 속에서,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중요한 걸까?
물론 아이들의 공부에 대한 성취욕을 올려주고 동기를 제공해준다는 면에서 시험이란 좋은 제도이다. 하지만, 다들 알다시피 학생들에게 시험을 보게 한다는 것은 그 시험 결과를 가지고 아이들을 줄 세우겠다는 말이 되고, 그럼 어떤 부모가 마음 편히 아이들의 시험을 바라볼 수 있을까. 이게 지금 우리의 현실이다. 아이들의 시험은 아이들만의 시험이 아니고, 부모들의 시험, 어른들의 시험이다.
난 항상 아이가 어떤 시험 성적을 가지고 오든 신경 쓰지 않으리라 마음을 굳게 먹는다. 그런데, 분명 그렇게 되지 않을 것임을 안다. 아이가 받아쓰기 시험을 보고 그걸 들고 오면 구박하던 칭찬하던 했던 것처럼, 분명 이번 시험 결과를 가지고도 아이에게 구박을 하던 칭찬을 하게 될 것이 뻔하다.
슬픈 현실, 불쌍한 아이들. 제발 우리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게 내버려 둘 수는 없을까. 난 우리 아이들이 공부를 잘 하는 것보다, 시험을 잘 보는 것보다, 받아쓰기를 잘 하는 것보다, 밝고 건강한 것이 더 좋은데 …
'Thoug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 출근길의 지하철 풍경 (14) | 2009.10.26 |
---|---|
LocalStory, 우리 동네를 이야기하다 (2) | 2009.10.25 |
광주 첨단병원 응급실은 왜 있는가? (22) | 2009.10.19 |
꿀벅지? 이건 뭘까? (16) | 2009.10.17 |
nProtect KeyCrypt가 웹 표준? (18) | 2009.10.16 |
Recent comment